시화호의 기적 (지구촌 사회 학교 07)
- 1498
• 지은이 : 김정희
• 그린이 : 윤정미
• 가격 : 13,000원
• 책꼴/쪽수 :
210mm×253mm, 48쪽
• 펴낸날 : 2018-10-18
• ISBN : 9791160943986 74330, 9788958289203(세트)
• 십진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사회문제 (330)
• 도서상태 : 정상
저자소개
지은이 : 김정희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를 졸업하고 어린이책 기획과 편집 일을 하고 있습니다다. 재미있는 상상을 짧은 글과 간단한 그림으로 남겨 두었다가 날마다 조금씩 이야기로 엮어 나가는 중입니다. 글을 쓴 책으로 <찰떡 콩떡 수수께끼 떡>이 있습니다.
그린이 : 윤정미
대학에서 의상 디자인을 공부하고 오랫동안 직장 생활을 하다가 그림을 그리고 싶어 늦깎이 일러스트레이
터가 되었습니다. 그린 책으로 『할머니와 걷는 길』, 『백제의 신검 칠지도』, 『고구려를 넘어서』 등이 있고, 쓰
고 그린 책으로 『어느 멋진 날』이 있습니다.
터가 되었습니다. 그린 책으로 『할머니와 걷는 길』, 『백제의 신검 칠지도』, 『고구려를 넘어서』 등이 있고, 쓰
고 그린 책으로 『어느 멋진 날』이 있습니다.
책정보 및 내용요약
바다와 갯벌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는 시화호 이야기
어느 날 어섬 사람들은 이상한 소문을 들었어요. 방조제를 쌓아서 바다를 막고, 갯벌을 육지로 만든다는 거
예요.
“바다가 없어지면 우리는 어떻게 살지?”
어섬 사람들은 걱정이 태산이었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어요. 방조제가 완성되자 곧 물이 오염되어 갔어요.
그렇게 탄생한 시화호는 죽음의 호수가 되었어요.
“우리 함께 시화호를 살립시다! 바다를 살립시다!”
사람들이 뜻을 모으자 기적이 일어났어요. 물이 다시 맑아지고 갯벌이 생겨나기 시작한 거예요. 갯벌 생물
들과 철새들도 돌아왔지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우리 함께 시화호에 일어났던 이야기를 들어
봐요.
어느 날 어섬 사람들은 이상한 소문을 들었어요. 방조제를 쌓아서 바다를 막고, 갯벌을 육지로 만든다는 거
예요.
“바다가 없어지면 우리는 어떻게 살지?”
어섬 사람들은 걱정이 태산이었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어요. 방조제가 완성되자 곧 물이 오염되어 갔어요.
그렇게 탄생한 시화호는 죽음의 호수가 되었어요.
“우리 함께 시화호를 살립시다! 바다를 살립시다!”
사람들이 뜻을 모으자 기적이 일어났어요. 물이 다시 맑아지고 갯벌이 생겨나기 시작한 거예요. 갯벌 생물
들과 철새들도 돌아왔지요.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요? 우리 함께 시화호에 일어났던 이야기를 들어
봐요.
편집자 추천글
‘국토 개발’로 사라진 갯벌들
우리나라는 1990년대까지 서해안 곳곳에 대규모 간척 사업이 이어졌습니다. 좁은 국토를 넓힌다는 명분과
굴곡이 심한 서해안의 지형이 간척에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그러나 화성호, 시화호, 새만금에 이
르기까지 간척 사업은 하나같이 대규모 환경 재앙을 불러왔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방조제를 허물고 다시 갯
벌을 복원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동양 최대의 간척 사업으로 탄생한 시화호
1986년에 시작한 시화지구 개발 사업은 당시 동양 최대의 간척 사업으로 불릴 만큼 대규모 공사였습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까지 서해안 곳곳에 대규모 간척 사업이 이어졌습니다. 좁은 국토를 넓힌다는 명분과
굴곡이 심한 서해안의 지형이 간척에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그러나 화성호, 시화호, 새만금에 이
르기까지 간척 사업은 하나같이 대규모 환경 재앙을 불러왔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방조제를 허물고 다시 갯
벌을 복원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동양 최대의 간척 사업으로 탄생한 시화호
1986년에 시작한 시화지구 개발 사업은 당시 동양 최대의 간척 사업으로 불릴 만큼 대규모 공사였습니다.
그러나 완공 직후부터 심각한 환경오염을 불러와 큰 사회 문제가 되었습니다. 지금은 안산갈대습지공원과
조력발전소 등이 자리 잡으면서 친환경 생태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시화호가 오염되고 다시 복원되
는 과정은 ‘시화호의 기적’으로 일컬어 질 만큼 놀라운 변화였습니다.
시화호의 역사를 품은 어섬
이 책은 시화호가 생기면서 섬이었다가 육지가 된 어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것입니다. 어섬 주민들은
바다가 막히고 갯벌이 사라진 후 고기잡이와 조개 채취를 하던 생활을 그만두고 고향을 떠나거나 포도밭을
일구며 살았습니다. 그러나 시화호의 오염이 심각해졌을 때 어섬 주민들이 앞장서서 정부에 항의했고, 시
화호 복원에 힘을 보태었습니다. 오랫동안 역사 동화를 써 온 김정희 작가는 어섬 주민들을 취재하여 시화
호가 바다와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글 속에 담았습니다.
풍요로웠던 군자만 바다
시화방조제가 건설되기 전, 경기도 시흥과 화성의 군자만에는 9미터에 이르는 큰 조수 간만의 차 덕분에 넓
은 갯벌이 발달해 있었습니다. 이 갯벌은 경기만 내에서 수산 자원이 가장 풍부했으며, 면적도 지금의 경기
도 전체 갯벌과 맞먹을 정도로 넓었습니다.
바다를 막는 방조제
시화지구 개발 계획에 따라 1987년 방조제 공사를 시작해 1994년에 완공하면서 바다를 막아 버린 뒤로 군
자만 갯벌은 사라지고 마른 땅이 되었습니다. 정부는 그 땅에 농토를 일구거나 주택과 공장을 지으려 했습
니다. 그리고 새로 생겨난 시화호의 민물은 공장을 돌리고 농사를 짓는 데 쓰려고 했습니다.
조력발전소 등이 자리 잡으면서 친환경 생태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시화호가 오염되고 다시 복원되
는 과정은 ‘시화호의 기적’으로 일컬어 질 만큼 놀라운 변화였습니다.
시화호의 역사를 품은 어섬
이 책은 시화호가 생기면서 섬이었다가 육지가 된 어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쓴 것입니다. 어섬 주민들은
바다가 막히고 갯벌이 사라진 후 고기잡이와 조개 채취를 하던 생활을 그만두고 고향을 떠나거나 포도밭을
일구며 살았습니다. 그러나 시화호의 오염이 심각해졌을 때 어섬 주민들이 앞장서서 정부에 항의했고, 시
화호 복원에 힘을 보태었습니다. 오랫동안 역사 동화를 써 온 김정희 작가는 어섬 주민들을 취재하여 시화
호가 바다와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글 속에 담았습니다.
풍요로웠던 군자만 바다
시화방조제가 건설되기 전, 경기도 시흥과 화성의 군자만에는 9미터에 이르는 큰 조수 간만의 차 덕분에 넓
은 갯벌이 발달해 있었습니다. 이 갯벌은 경기만 내에서 수산 자원이 가장 풍부했으며, 면적도 지금의 경기
도 전체 갯벌과 맞먹을 정도로 넓었습니다.
바다를 막는 방조제
시화지구 개발 계획에 따라 1987년 방조제 공사를 시작해 1994년에 완공하면서 바다를 막아 버린 뒤로 군
자만 갯벌은 사라지고 마른 땅이 되었습니다. 정부는 그 땅에 농토를 일구거나 주택과 공장을 지으려 했습
니다. 그리고 새로 생겨난 시화호의 민물은 공장을 돌리고 농사를 짓는 데 쓰려고 했습니다.
환경오염의 상징이 되어버린 시화호
바닷물이 드나들지 않으니 개벌이 마르고 조개 등 갯벌 생물들이 죽어갔습니다. 새하얀 조개껍질이 넓은 갯
벌을 온통 뒤덮을 정도였지요. 그리고 시화호는 흘러드는 갖가지 폐기물을 견디다 못해 온통 썩어버렸지요.
수천, 수만 마리의 물고기들이 배를 허옇게 뒤집고 떠올랐답니다. 게다가 마른 갯벌에서부터 소금 바람이
주변 마을에 불어 닥쳐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었습니다.
시화호는 어떻게 다시 살아났을까?
시화호가 오염되자 주민들은 “우리에게 재앙이 내렸구나.” 하며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주민들은 정부에 항
의하고, 환경오염을 걱정하는 많은 언론, 학자, 시민들과 함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드디어 1998년 11월,
정부는 시화호를 막은 제방의 수문을 열기로 했습니다. 바닷물이 드나들기 시작하자 시화호가 점점 맑아졌
습니다. 또 1997년부터 시화호 상류에 갈대를 심고 습지를 만들었지요. 갈대 습지 조성이 끝나자 바로 효
과가 나타나 습지 생물과 철새들이 돌아오기 시작했답니다.
시화호가 일깨워 준 바다와 갯벌의 소중함
시화호는 우리에게 바다와 갯벌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바다가 막혀 호수가 되자 환경이 급격히 오
염되었고 조개와 물고기 등 많은 생물의 떼죽음이 이어졌지요. 또한 바다와 갯벌에 의지해 살던 주민들이
더 이상 고향에 살지 못하고 뿔뿔이 흩어지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시화호를 통해서 자연 환경을 파괴하
고 주민들의 삶터를 망가뜨리는 갯벌 간척에 대해 반성하게 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