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촘스키와 아슈카르, 중동을 이야기하다-중동 분쟁과 미국 대외정책의 위험한 관계
- 1386
• 지은이 : 질베르 아슈카르
• 옮긴이 : 강주헌
• 가격 : 22,000원
• 책꼴/쪽수 :
223*152mm, 520쪽
• 펴낸날 : 2009-06-20
• ISBN : 9788958283683
• 십진분류 : 사회과학 > 정치학 (340)
• 태그 : #촘스키 #아슈카르 #중동 #전쟁 #테러 #미국
저자소개
지은이 : 질베르 아슈카르
Gilbert Achcar. 레바논계 프랑스 지식인으로 작가이자 사회주의자이며 반전운동가이다. 1951년 세네갈에서 태어나 1983년 프랑스로 이주하기 전까지 레바논에서 살았다. 2003년 베를린 마크 블로흐 센터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파리 8대학에서 정치학과 국제 관계를 가르쳤다. 2007년부터 런던대학에서 중동-아프리카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있다. <야만의 충돌>, <뜨거운 동양: 마르크스주의자의 눈에 비친 중동>, <33일 간의 전쟁>(공저) 등 현대 정치에 관련한 책을 여러 권 썼고,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인터내셔널 뷰포인트>에 글을 기고한다.
옮긴이 : 강주헌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브장송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건국대학교 등에서 불어와 언어학을 가르쳤으며, 펍헙 에이전시 대표로 2003년 ‘올해의 출판인 특별상’을 수상했다.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수년간 번역 강의를 해왔고, 현재 영어와 불어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문명의 붕괴>,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지식인의 책무>,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오프라 윈프리, 위대한 인생>, <일상, 그 매혹적인 예술> 등 다수가 있고 <기획에는 국경도 없다> 등을 썼다.
책정보 및 내용요약
이 책은 중동에 관한 책이지만 미국 등 외부세력의 이해관계에 따른 간섭을 다루지 않고는 중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뜨겁게 달궈지는 갈등지역에 관련된 쟁점과 역사뿐만 아니라 미국의 대외정책과 중동에 관한 쟁점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테러의 위협은 어느 정도이고 테러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근본주의의 발생 원인은 무엇이고 어디에서 가장 두드러지는가, 중동의 민주주의는 어떤 상황이고 이라크 전쟁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미국의 외교정책에 원유와 이스라엘의 로비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등에 대한 두 전문가의 심도 깊고 예리한 대담이 이루어졌다. 또 9.11 이후 벌어진 미국과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와의 갈등에 대해서는 미국의 역할과 쿠르드족의 상황 등을 집중적으로 다루었고, 이란과 시리아에 잠재된 갈등이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간의 갈등과 관련해서는 특히 그 역사적 뿌리와 현재의 역학관계까지도 추적하면서 가능한 해결책까지 모색하고 있다. 이렇듯 이 책은 중동 문제의 저변에 감추어진 역학 관계를 분석하고 중대한 쟁점을 다루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독자들이 과거를 올바로 이해하고, 현재와 미래의 중동 정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목차
서문 - 중동문제의 석학들과 함께하는 저녁식사
1장 테러와 음모
테러란 무엇인가?
테러리스트의 위협
테러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9·11테러와 음모론
사담 후세인의 쿠웨이트 침공
2장 근본주의와 민주주의
중교적 근본주의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사우디 왕국의 현실
중동의 민주주의
근본주의와 민주주의
이라크 침략 이후, 중동은 민주화되었나?
3장 미국의 중동 정책을 좌우하는 요인들
석유
이스라엘의 로비와 미국의 외교정책
이스라엘과 미국의 이익
4장 '위대한 중동'에서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내막
9·11테러에 대한 미국의 대응
전쟁 후의 아프가니스탄
2003년의 미국과 이라크
이라크 전쟁에 대한 강대국들의 입장
2006년 현재의 이라크
이라크의 폭동
미국의 대이라크 정책
반전단체는 무엇을 요구해야 하는가?
미군이 철수하면 내란이 일어날까?
이라크의 쿠르드족
터키의 쿠르드족
소수민족의 분리, 민족자결권의 문제
미국의 대시리아 정책
미국과 이란
5장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
이스라엘은 적법한 국가인가?
팔레스타인인들이 원하는 해결책은 가능한가?
지속적인 평화를 향하여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사람들
유대인 내부의 인종차별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현재
평화를 위한 노력
정착촌에 대한 팔레스타인의 시각
시온주의와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의 정치계
어떻게 해야 정의가 실현될 것인가?
보이콧과 투자 철수, 그 밖의 진술
미국의 반유대주의
서유럽의 반유대주의
반아랍 인종차별과 이슬람공포증
에필로그 6개월 후, 무엇이 달라졌는가?
이라크의 상황
정권을 장악한 하마스
이스라엘, 헤즈볼라, 레바논 갈등
이스라엘의 로비
미국과 이란
헤즈볼라
하마스와 헤즈볼라의 투쟁
개정판 후기 다시, 위기의 2년
이라크 점령 6년째, 미국은 승리했나?
33일 간의 전쟁 후, 레바논과 이스라엘
하마스 정권 장악 후의 팔레스타인 상황
미국 대선이 이라크 정책에 변화를 줄 것인가?
이란 공격에 대한 오바마의 입장
이스라엘-팔레스타인과 미국
옮긴이의 글 - 왜 아직 촘스키여야 하는가?
주
찾아보기
1장 테러와 음모
테러란 무엇인가?
테러리스트의 위협
테러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9·11테러와 음모론
사담 후세인의 쿠웨이트 침공
2장 근본주의와 민주주의
중교적 근본주의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사우디 왕국의 현실
중동의 민주주의
근본주의와 민주주의
이라크 침략 이후, 중동은 민주화되었나?
3장 미국의 중동 정책을 좌우하는 요인들
석유
이스라엘의 로비와 미국의 외교정책
이스라엘과 미국의 이익
4장 '위대한 중동'에서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내막
9·11테러에 대한 미국의 대응
전쟁 후의 아프가니스탄
2003년의 미국과 이라크
이라크 전쟁에 대한 강대국들의 입장
2006년 현재의 이라크
이라크의 폭동
미국의 대이라크 정책
반전단체는 무엇을 요구해야 하는가?
미군이 철수하면 내란이 일어날까?
이라크의 쿠르드족
터키의 쿠르드족
소수민족의 분리, 민족자결권의 문제
미국의 대시리아 정책
미국과 이란
5장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
이스라엘은 적법한 국가인가?
팔레스타인인들이 원하는 해결책은 가능한가?
지속적인 평화를 향하여
이스라엘 내 팔레스타인 사람들
유대인 내부의 인종차별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현재
평화를 위한 노력
정착촌에 대한 팔레스타인의 시각
시온주의와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의 정치계
어떻게 해야 정의가 실현될 것인가?
보이콧과 투자 철수, 그 밖의 진술
미국의 반유대주의
서유럽의 반유대주의
반아랍 인종차별과 이슬람공포증
에필로그 6개월 후, 무엇이 달라졌는가?
이라크의 상황
정권을 장악한 하마스
이스라엘, 헤즈볼라, 레바논 갈등
이스라엘의 로비
미국과 이란
헤즈볼라
하마스와 헤즈볼라의 투쟁
개정판 후기 다시, 위기의 2년
이라크 점령 6년째, 미국은 승리했나?
33일 간의 전쟁 후, 레바논과 이스라엘
하마스 정권 장악 후의 팔레스타인 상황
미국 대선이 이라크 정책에 변화를 줄 것인가?
이란 공격에 대한 오바마의 입장
이스라엘-팔레스타인과 미국
옮긴이의 글 - 왜 아직 촘스키여야 하는가?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