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 소사이어티
- 2800
• 지은이 : 데이비드 크로토· 윌리엄 호인스
• 옮긴이 : 전석호
• 가격 : 15,800원
• 책꼴/쪽수 :
176*124mm, 416쪽
• 펴낸날 : 2001-08-10
• ISBN : 9788971968154
• 십진분류 : 사회과학 > 정치학 (340)
• 태그 : #사회 #미디어 #언론 #사회과학
저자소개
지은이 : 데이비드 크로토· 윌리엄 호인스
데이비드 크로토 (David
Croteau)
현재 미국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교수로 미디어 사회학과 뉴스 미디어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Politics
and the Class Divide: Working People and the Middle-Class Left가 있다.
윌리엄 호인스 (William
Hoynes)
뉴욕 바싸 대학의 교수로 미디어, 문화, 사회 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는 Public Television for Sale: Media, the Market, and the Public Sphere가 있다.
* 이들의 공저로는 By Invitation Only: How the Media Limit Political Debate, The
Business of Media: Corporate Media and Democratic Society가 있다.
옮긴이 : 전석호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남가주 대학교에서 박사학위(커뮤니케이션학)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KBS 뉴미디어위원회 자문위원 (1992), 대통령 자문 21세기위원회 위원(1992), 정보화추진위원회 위원(1994), 미국 남가주 대학교 교환교수(1996), 한국 성폭력연구소 전문위원(1999),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소장(2000) 등 을 역임하였으며, KBS 1라디오 <일요일 아침입니다>(1995), SBS <열린 TV, 시청자 세상> (1996), KBS 2라디오 <출발 일요일>(1999)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유선텔레비전의 수용』, 『정보사회론』, 『정보정책론(공저)』, 『한국사회와 정보화』, 『포르노 섹스 그리고 미디어』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뉴미디어 조사방법』, 『뉴미디어와 사회변동』등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유선텔레비전의 수용』, 『정보사회론』, 『정보정책론(공저)』, 『한국사회와 정보화』, 『포르노 섹스 그리고 미디어』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뉴미디어 조사방법』, 『뉴미디어와 사회변동』등이 있다.
책정보 및 내용요약
이 책은 일상 생활에서의 미디어의 역할을 최근의 실례를 들어 이해하기 쉽고 예리하게 분석하고 있으며, 최근의 연구성과들을 반영하여 현대 사회와 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따라서 미디어를 호흡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유익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1부. 미디어 · 사회]
1장.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의 중요성/ 매스 미디어의 기원/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의 사회학/ 매스 미디어 모델과 사회 / 결론
[2부. 생산 - 미디어 산업과 사회]
2장. 미디어 기업의 경제학
소유권 유형의 변화/ 복합기업과 통합의 결과/ 집중의 효과/ 이윤을 위한 매스 미디어/ 광고 효과/ 결론
3장. 미디어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
'해적판 라디오'의 경우/ 미디어 규제의 일반성/ '첫 번째 자유'/ '공익과 규제/ 국제적인 관점에서의 규제/ 소유와 통제의 규제/ 미디어 콘텐츠와 유통의 규제/ 비공식적인 정치·사회·경제적 압력/ 결론
4장. 미디어 조직과 언론인
경제적·정치적 구속력의 한계/ 미디어 조직/ 직업적 역할과 전문직의 사회화/ 인터넷에서 부각되는 규범/ 히트,스타, 그리고 의사결정/ 결론
[3부. 콘텐츠 - 사회를 표현하는 미디어]
5장. 미디어와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이데올로기 분석의 이론적 뿌리/ 뉴스 미디어와 토론의 한계/ 영화, 군대,남성미/ TV, 대중성, 이데올로기/ 랩 음악과 이데올로기 비판/ 광고와 소비자 문화/ 광고와 문화의 국제화/ 결론
6장. 사회적 불평등과 미디어
미디어 콘텐츠와 '실제' 세계/ 콘텐츠의 중요성/ 인종과 미디어 콘텐츠:역할과 통제/ 성별과 미디어 콘텐츠/ 계층과 미디어/ 성별 지향성/ 결론
[4부. 수용자 - 의미와 영향력]
7장. 미디어 효과와 정치 세계
미디어와 정치 엘리트/ 미디어와 개인/ 미디어와 사회 운동/ 뉴 미디어와 뉴스/ 정치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국제 미디어와 국제 정치/ 결론
8장. 수용자와 의미의 구성
적극적인 수용자/ 의미/ 미디어의 해독과 사회적 지위/ 미디어 사용의 사회적 맥락/ 적극적인 수용자와 해석상의 '저항'/ 미디어의 쾌락/ 결론
9장.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미디어의 기술의 속성과 중요성/ 기술과 미디어 환경/ 미디어 기술의 사회적 구성/ 인터넷과 상호 작용 미디어의 미래/ 결론
[5부. 수용자 - 의미와 영향력]
10장. 국제화와 미디어
국제화란 무엇인가?/ 국제 미디어 산업/ 국제 미디어의 콘텐츠/ 국제적인 미디어 소비:지구촌의 한계/ 매스 미디어의 미래
1장.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의 중요성/ 매스 미디어의 기원/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의 사회학/ 매스 미디어 모델과 사회 / 결론
[2부. 생산 - 미디어 산업과 사회]
2장. 미디어 기업의 경제학
소유권 유형의 변화/ 복합기업과 통합의 결과/ 집중의 효과/ 이윤을 위한 매스 미디어/ 광고 효과/ 결론
3장. 미디어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
'해적판 라디오'의 경우/ 미디어 규제의 일반성/ '첫 번째 자유'/ '공익과 규제/ 국제적인 관점에서의 규제/ 소유와 통제의 규제/ 미디어 콘텐츠와 유통의 규제/ 비공식적인 정치·사회·경제적 압력/ 결론
4장. 미디어 조직과 언론인
경제적·정치적 구속력의 한계/ 미디어 조직/ 직업적 역할과 전문직의 사회화/ 인터넷에서 부각되는 규범/ 히트,스타, 그리고 의사결정/ 결론
[3부. 콘텐츠 - 사회를 표현하는 미디어]
5장. 미디어와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이데올로기 분석의 이론적 뿌리/ 뉴스 미디어와 토론의 한계/ 영화, 군대,남성미/ TV, 대중성, 이데올로기/ 랩 음악과 이데올로기 비판/ 광고와 소비자 문화/ 광고와 문화의 국제화/ 결론
6장. 사회적 불평등과 미디어
미디어 콘텐츠와 '실제' 세계/ 콘텐츠의 중요성/ 인종과 미디어 콘텐츠:역할과 통제/ 성별과 미디어 콘텐츠/ 계층과 미디어/ 성별 지향성/ 결론
[4부. 수용자 - 의미와 영향력]
7장. 미디어 효과와 정치 세계
미디어와 정치 엘리트/ 미디어와 개인/ 미디어와 사회 운동/ 뉴 미디어와 뉴스/ 정치와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국제 미디어와 국제 정치/ 결론
8장. 수용자와 의미의 구성
적극적인 수용자/ 의미/ 미디어의 해독과 사회적 지위/ 미디어 사용의 사회적 맥락/ 적극적인 수용자와 해석상의 '저항'/ 미디어의 쾌락/ 결론
9장.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미디어의 기술의 속성과 중요성/ 기술과 미디어 환경/ 미디어 기술의 사회적 구성/ 인터넷과 상호 작용 미디어의 미래/ 결론
[5부. 수용자 - 의미와 영향력]
10장. 국제화와 미디어
국제화란 무엇인가?/ 국제 미디어 산업/ 국제 미디어의 콘텐츠/ 국제적인 미디어 소비:지구촌의 한계/ 매스 미디어의 미래
편집자 추천글
일상생활 깊숙이 개입하고 있는 미디어는 최근 디지털과 인터넷이 가세한 뉴 미디어의 급속한 발전으로 더욱 주목을 받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디어 관련서들은 각각의 미디어만을 다루면서 미디어와 사회의 유기적인 관계를 간과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특정 미디어에 제한된 이론 분석을 벗어나 다양한 미디어와 실제 사회의 상호 작용을 입체적으로 그려내고, 미래의 미디어가 맡아야 할 역할까지도 조망하는 책에 대한 독자의 요구는 여느 때보다 절실하다. 이 책은 이런 요구에 부합하는 장점을 고루 갖추고 있다. 사회학 교수인 저자들이 미디어와 사회의 상호 작용을 정치, 경제, 수용자, 이데올로기, 테크놀로지 등의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본다. 또한 미디어와 사회의 거대한 구조 속에 잠재된 산업, 메시지, 수용자 등 주요 주제들을 사회학 이론으로 분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우리가 쉽게 접하는 영화, 드라마, 잡지, 책 등의 풍부한 예를 적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처럼 이 책은 우리 일상에서 미디어가 담당하는 역할을 예리하게 분석하고, 미디어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입체적이고도 풍부한 내용을 전해주기 때문에 미디어 관련 전공자와 미디어산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마치 공기처럼 미디어를 호흡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유익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 미디어 과정의 구성 요소들간의 관계를 사회학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이 책에서는 미디어 산업, 미디어 상품, 수용자, 기술과 광범위한 사회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사회의 모델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우리가 이 모든 것들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그리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 매스 미디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미디어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현대 정부는 미디어를 어떻게 통제하는가? 수용자들은 미디어의 메시지를 어떻게 자기식으로 이해하는가? (미디어의 소유와 콘텐츠에 대한 정부의 여러 규제, 사회계층에 따른 TV 프로그램 해석의 차이) 신문의 1면 기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급변하는 미디어 기술은 전세계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 하는가? (신문 1면 기사와 톱 뉴스의 결정 과정,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지구촌이 실현되었지만 반면에 미디어 접근의 국제적 불평등은 더욱 심화됨) 세계 미디어 시장은 왜 5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가? (거대 미디어 기업의 탄생과 철저한 이윤 추구, 광고주의 눈치를 살펴야 하는 미디어 제작의 현실) 왜 스포츠 중계 방송에서 여자 선수의 몸이 더 많이 클로즈업 될까? (가족 드라마에서 암시되는 미묘한 계급 차이, 남녀 스포츠 중계의 카메라 각도와 선수 호칭 등의 차이, 호감을 끌어내기 위한 정치인들의 이미지 정치) 이 책에서는 미디어 과정의 다양한 범주들(생산, 콘텐츠, 수용자)과 여러 미디어(영화, 음악, 뉴스, TV, 책, 인터넷 등)를 이처럼 폭넓게 탐험한다. 또한 기존의 책들처럼 개별 미디어에 따라 각 장을 나누면서 매스 미디어 연구를 파편화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특정 매체 중심의 접근법은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매체별 특성이 모호해지면서 그 장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대신 이 책에서는 모든 유형의 매스 미디어를 균형 있게 검토하는 통합적 시각을 강조하고, 논의 대상 역시 다양하고 풍부하다. 이 덕분에 독자는 제각각 다루어져왔던 매스 미디어 논의들 사이의 연결 고리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미디어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 긴장 관계를 강조한다. 사회에 미치는 미디어 산업의 영향력을 이해하면서, 한편으로 경제, 정치적 구속력이 미디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인식해야 한다. 미디어 상품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에 주목하면서, 한편으로 수용자들이 어떻게 미디어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해석해내는지 인식해야 한다. 기술이 미디어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한편으로는 사회, 경제, 정치 세력들이 기술의 발전과 적용을 어떻게 좌우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처럼 저자들이 미디어 과정의 긴장 관계를 입체적인 상호 작용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는 사회에서 차지하는 미디어의 위치를 더욱 섬세하고 균형잡힌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다.
■ 풍부한 최신 자료와 연구 성과들을 반영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최신 자료와 연구 성과를 반영한 덕분에 이 책의 다양한 논의는 현재 진행형으로 유효하며,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목적에도 역시 충실하다. 저자들은 1999년 현재 미국 케이블 TV 소유 현황, 1998년 온라인 아동 보호법, 1997-98년의 주요 미디어 기업의 계열사 현황, 1996년 개정 통신법에 따른 미디어 소유 규정의 획기적인 변화, 미디어에서의 동성애 묘사 등 최신 자료들을 충분히 다루면서 논의를 진행한다. 따라서 미디어 논의들은 추상적인 이론으로 독자의 머리를 맴도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친근하게 다가온다. 또한 선별된 최신의 연구 성과도 고전적 미디어 연구와의 연결 고리 속에서 그 의미와 중요성이 분석되기 때문에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논점을 더욱 견고히 하고, 독자로 하여금 그 논의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
■ 미디어 과정의 구성 요소들간의 관계를 사회학적 시각으로 분석한다. 이 책에서는 미디어 산업, 미디어 상품, 수용자, 기술과 광범위한 사회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미디어와 사회의 모델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우리가 이 모든 것들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그리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 매스 미디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미디어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유기적으로 결합한다. 현대 정부는 미디어를 어떻게 통제하는가? 수용자들은 미디어의 메시지를 어떻게 자기식으로 이해하는가? (미디어의 소유와 콘텐츠에 대한 정부의 여러 규제, 사회계층에 따른 TV 프로그램 해석의 차이) 신문의 1면 기사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급변하는 미디어 기술은 전세계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 하는가? (신문 1면 기사와 톱 뉴스의 결정 과정,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지구촌이 실현되었지만 반면에 미디어 접근의 국제적 불평등은 더욱 심화됨) 세계 미디어 시장은 왜 5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가? (거대 미디어 기업의 탄생과 철저한 이윤 추구, 광고주의 눈치를 살펴야 하는 미디어 제작의 현실) 왜 스포츠 중계 방송에서 여자 선수의 몸이 더 많이 클로즈업 될까? (가족 드라마에서 암시되는 미묘한 계급 차이, 남녀 스포츠 중계의 카메라 각도와 선수 호칭 등의 차이, 호감을 끌어내기 위한 정치인들의 이미지 정치) 이 책에서는 미디어 과정의 다양한 범주들(생산, 콘텐츠, 수용자)과 여러 미디어(영화, 음악, 뉴스, TV, 책, 인터넷 등)를 이처럼 폭넓게 탐험한다. 또한 기존의 책들처럼 개별 미디어에 따라 각 장을 나누면서 매스 미디어 연구를 파편화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특정 매체 중심의 접근법은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매체별 특성이 모호해지면서 그 장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대신 이 책에서는 모든 유형의 매스 미디어를 균형 있게 검토하는 통합적 시각을 강조하고, 논의 대상 역시 다양하고 풍부하다. 이 덕분에 독자는 제각각 다루어져왔던 매스 미디어 논의들 사이의 연결 고리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미디어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 긴장 관계를 강조한다. 사회에 미치는 미디어 산업의 영향력을 이해하면서, 한편으로 경제, 정치적 구속력이 미디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인식해야 한다. 미디어 상품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에 주목하면서, 한편으로 수용자들이 어떻게 미디어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해석해내는지 인식해야 한다. 기술이 미디어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한편으로는 사회, 경제, 정치 세력들이 기술의 발전과 적용을 어떻게 좌우하는지 알아야 한다. 이처럼 저자들이 미디어 과정의 긴장 관계를 입체적인 상호 작용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독자는 사회에서 차지하는 미디어의 위치를 더욱 섬세하고 균형잡힌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다.
■ 풍부한 최신 자료와 연구 성과들을 반영하여 논의를 진행한다. 최신 자료와 연구 성과를 반영한 덕분에 이 책의 다양한 논의는 현재 진행형으로 유효하며,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목적에도 역시 충실하다. 저자들은 1999년 현재 미국 케이블 TV 소유 현황, 1998년 온라인 아동 보호법, 1997-98년의 주요 미디어 기업의 계열사 현황, 1996년 개정 통신법에 따른 미디어 소유 규정의 획기적인 변화, 미디어에서의 동성애 묘사 등 최신 자료들을 충분히 다루면서 논의를 진행한다. 따라서 미디어 논의들은 추상적인 이론으로 독자의 머리를 맴도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친근하게 다가온다. 또한 선별된 최신의 연구 성과도 고전적 미디어 연구와의 연결 고리 속에서 그 의미와 중요성이 분석되기 때문에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논점을 더욱 견고히 하고, 독자로 하여금 그 논의에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